안녕하세요! 날이 계속 후덥지근한데요. 지난번 모기에 이어서 여름철 해충의 또 다른 대표주자 초파리가 있습니다. 모기처럼 나를 물거나 괴롭게 하진 않지만 집안에 날아다니면 상당히 거슬리는데요. 하지만 초파리는 비위생적인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각종 전염병이나 질병 등의 세균을 옮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파리도 번식을 막기 위해 잡아야 하는데요. 오늘은 초파리가 왜 생기는지 초파리를 어떻게 예방하고 퇴치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파리는 왜 생길까?
바나나 같은 과일을 실온에 두거나 사용한 접시를 싱크대에 그냥 두었다가 초파리가 한두 마리씩 생기는 것을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우리가 보는 초파리는 보통 황색초파리로 봄이나 여름에 과일이나 신선한 농산물이 풍부할 때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초파리는 보통 뚫려있는 방충망이나 열린 창문을 통해 밖에서 집안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초파리가 많이 꼬이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과일입니다. 이들은 보통 발효하거나 무르익는 과일 혹은 야채의 표면에 알을 낳습니다. 배수구나 음식물쓰레기 통, 걸레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기물의 표면에 노출되는 한 초파리는 빠른 속도로 번식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철 잠깐이라도 과일이나 음식물쓰레기가 실온에서 방치된다면 초파리에겐 아주 완벽한 환경이 되는 것이죠.
초파리 예방법
과일, 야채 잘 보관하기
아무래도 가장 큰 원인이 과일이기 때문에 과일과 야채는 잘 씻어서 냉장보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밀폐용기나 비닐에 잘 담아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리 청결하게 할지라도 냉장고가 아닌 실온에 두게 되면 초파리가 꼬이기 시작하니까 꼭 냉장보관 해야 합니다.
바로 설거지하기
초파리는 익은 과일이나 발효과일에 유인되어 들어오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버려진 과일 껍질이나 음식물은 즉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합니다. 반드시 주방 선반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음식을 담았던 접시를 씻어서 둬야 합니다. 또한 썩어가는 음식물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가 어느 정도 쌓이면 바로바로 비워줘야 합니다.
싱크대 배수구 청소하기
초파리는 모기와 마찬가지로 물이 고여있는 곳을 좋아합니다. 아주 적은 습한 유기물질만으로도 알을 낳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물이 잘 고일수밖에 없는 싱크대 배수구나 화장실 하수구 등에 알을 놓고 번식합니다. 과탄산소다 + 세제 + 뜨거운 물로 싱크대나 하수구를 세척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수구 같은 경우엔 락스와 뜨거운 물을 자주 흘려보내주는 것도 초파리 번식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방충망 확인하기
하수구나 배수구뿐만 아니라 방충망으로도 들어옵니다. 분명히 방충망이 뚫린 곳이나 느슨해진 곳이 있을 것입니다. 외부유입 초파리를 막기 위해서는 3mm보다 작은 방충망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바질 뿌리기
초파리는 바질 냄새를 매우 싫어합니다. 약간의 마른 바질을 과일 바구니나 초파리가 들끓기 쉬운 장소에 흩뿌리면 초파리를 퇴치할 수 있습니다.
초파리 트랩 만들기
초파리가 이미 집에 있다면 간단한 재료를 이용해 천연 초파리 트랩을 만들면 됩니다.
재료 : 식초, 설탕, 세제(비율은 1 : 1 : 1) 고무줄, 비닐장갑, 빈통, 빨대 2~3개
1. 빈통에 식초를 넣습니다.
2. 설탕을 적당히 넣습니다.
3. 주방세제를 적당히 넣습니다. 세제가 없으면 샴푸로 대체해도 됩니다.
4. 잘 섞어준 다음 비닐장갑으로 덮어줍니다. 없으면 랩으로 씌워도 됩니다.
5. 윗면을 평평하게 한 후 고무줄로 고정시킵니다.
6. 평평한 윗면을 빨대로 여러 군데 뚫어 구멍 내줍니다.
7. 빨대를 작게 잘라서 짧은 길이로 여러 개 만들어줍니다.
8. 뚫어놨던 구멍에 조그마한 빨대를 꽂아줍니다.
9. 주방이나 쓰레기봉투가 있는 곳에 두면 됩니다.
초파리가 신맛과 단맛을 좋아해서 트랩에 자연스럽게 갇히게 됩니다.
이렇게 손쉽게 트랩 만들어서 초파리 퇴치해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더운 여름철 달고 맛있는 수박 고르는 법 총정리 (0) | 2023.07.06 |
---|---|
제습기 없이도 습기 제거하는 천연제습제 6가지 (0) | 2023.07.04 |
나는 몇 살이나 어려질까? 만 나이 통일법 총정리 (0) | 2023.06.29 |
유통기한 지난 음식 먹어도 될까?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 (1) | 2023.06.27 |
모기가 좋아하는 냄새 모기에게 안 물리는 방법 (1)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