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 / / 2023. 6. 1. 17:35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기간 내용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6월의 시작입니다!

2023년 6월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최대 5천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럼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정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에 수령 가능합니다.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 지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의 예산은 약 3,678억 원으로 편성되었습니다.

 

가입 자격 조건

- 만 19~34세의 청년 (병역 이행기간 최대 6년까지는 연령 계산 시 미산입)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개인소득 6,000~7,500만 원,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 가능하나,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부여함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됨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 초과일 경우)

- 지자체 자산형성상품 및 내일채움공제 동시가입 허용

  *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수 없음

 

내 중위소득 확인하기 Click

 

청년도약계좌 지원 금액

- 5년간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금융기관 이자

정부

-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 지원

-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 적용됨

- 매칭 비율의 경우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음

- 금융기관 금리는 3년 고정 + 2년 변동

  * 취급기관별 금리 수준은 금융협회 홈페이지에 공시 예정

  * 저소득층 청년은 우대금리 부여

 

신청 기간

- 2023년 6월 15일 출시 예정이며, 각 금융기관의 모바일 앱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6월 가입을 개시하여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가 완료되면 결과를 통보받을 수 있습니다.

- 비대면 심사를 실시하며,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유지심사가 진행됩니다.

- 5년 동안 적금을 유지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금을 내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해지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연계 지원

- 저소득층 청년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은 동시가입이 허용됩니다.

  ex)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내일채움공제 / 지자체 상품 등

-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를 순차적으로 가입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 상품 만기 이후에도 청년들이 자산형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ex) 정책상품 이용 시 우대금리 제공 / 납입내역 개인신용평가 가점 반영 / 금융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정부가 청년을 위해 이렇게 지원해 주는 정책이 많아져서 좋습니다. 모두 가입 자격 조건과 중위소득 잘 확인하셔서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