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혹시 어느 날 갑자기 집으로 과태료 고지서가 날아왔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고지서에 '범칙금 납부 시'와 '과태료 납부 시'로 나눠져서 금액이 각각 명시되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두 개의 차이가 뭔지 궁금하신 분들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오늘은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를 알아보고, 기간 내 납부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와 납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태료
행정처분 벌점 x
중대한 범죄는 아니지만 사회질서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벌로 부과되는 것
가장 가벼운 처벌로 벌점 및 전과기록이 남지 않음
ex) 무인단속카메라로 인한 과속, 신호위반, 주정차 위반 적발 등
사람에 의해 단속된 것이 아니라서 정확히 누군가가 잘못했는지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벌점이 부과되지 않음
운전자에 대한 벌금 x , 차량(차량 명의자)에 대한 벌금 o
본인이 한 게 아니라고 발뺌하고 악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금액이 조금 더 높음
제출 기한 이내에 과태료를 자진 납부하는 경우에는 금액의 20% 감면받을 수 있음
범칙금
경범죄 처리 벌점 o
범죄에 준하는 행위를 하기는 했지만 형집행까지 가지 않으며 금전을 지자체 또는 국고에 납부하는 것
ex) 과속, 신호위반 등 경찰에게 직접 적발된 경우
내가 잘못한 것에 벌점을 받겠다 대신에 돈을 조금 적게 냄 (약 1만 원)
운전자에 대한 벌금 o
하지만 당장의 만원을 아끼자고 벌점을 받게 되면 나중에 벌점이 쌓여서 면허취소까지 이어질 수 있음
또한 자동차의 보험료가 올라가는 불이익이 있음
직접 적발된 경우에는 과태료로 내고 싶어도 낼 수 없음
벌금
형사처벌 벌점 o
범죄 행위를 저질러 유죄판결 후 일정 금액을 국가에 납부하는 재산형의 형벌
벌금형은 형사처벌의 하나이기 때문에 적은 금액이라도 벌금을 내면 전과기록이 남게 됨
ex) 음주운전, 뺑소니, 12대 중과실 등
▶ 내 과태료, 범칙금 조회하기
기간 내 납부하지 않을 경우
납부기간을 넘길 경우 2차 고지서 발송됨
기간이 초과하면 초과할수록 가산세가 붙음
기존 과태료에서 5%의 과태료 추가
월 1.2%씩 최대 77%
또한 30만 원 이상의 금액을 2달 이상 납부하지 않게 되면 번호판을 압수당함(영치) → 해당 차량은 운행 금지
점점 더 심해지면 차주의 다른 재산(부동산, 월급 등)을 압류할 수도 있음
사전에 미리미리 잘 납부해야 함
납부 방법
범칙금
위반한 운전자가 경찰서 지구대(파출소)를 방문
또는 경찰청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서 범칙금 고지서를 발부받은 경우에만 납부 가능
과태료
사전납부 고지서에 나와있는 기한까지 납부가상계좌로 입금
또는 경찰청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서 교통범칙금 · 과태료 → 미납내역조회 → 미납과태료 → 가상계좌로 입금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중독의 원인별 특징 예방수칙 및 가정 내 응급처치 (1) | 2023.06.19 |
---|---|
운전면허 있다면 지금 신청하세요 착한 운전 마일리지 (0) | 2023.06.19 |
재미로 알아보는 세계 부자 순위 (13) | 2023.06.15 |
여름 장마철 대비 차량 관리 및 점검 사항 (0) | 2023.06.13 |
국경일 공휴일 대체공휴일 법정기념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