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 / / 2023. 7. 11. 19:24

삼계탕 먹는 날 초복 중복 말복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비가 쉴 새 없이 내리고 있는 오늘 7월 11일은 초복입니다. 다들 삼계탕이나 닭요리 드셨나요? 어릴 때는 초복, 중복, 말복이 뭔지 모르고 그냥 닭죽을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오늘은 치킨을 먹더라도 초복이 뭔지 알고 먹어야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초복, 중복, 말복을 포함하는 삼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복이란?

삼복은 양력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들어가는 잡절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을 초복, 네 번째 경일을 중복, 입추로부터 첫째 경일을 말복이라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초복은 7월 11일~20일, 중복은 7월 21일~30일, 말복은 8월 7일~16일 사이가 됩니다.

 

이러한 삼복기간은 7월 초중순부터 8월 중순사이에 오는데 쉽게 말하면 1년 중 가장 날씨가 더운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삼복더위라는 말이 유난히 이 시기가 덥기 때문에 생겨난 말이기도 합니다. 보통 이때 각종 학교의 여름방학이 있고 휴가를 가장 많이 떠나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낮 기온이 33℃ 이상 치솟는 폭염현상이 거의 매일 있고 밤에도 기온이 25℃ 이상 오르는 열대야 현상도 주로 나타납니다.

 

2023년 올해의 초복은 7월 11일 화요일, 중복은 7월 21일, 말복은 8월 10일입니다.

 

 

삼복의 유래

삼복은 원래 중국의 속설로 전해집니다. 조선 후기에 발행된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사기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하였다'라고 합니다. 당시 중국에서는 인간을 괴롭히는 벌레들을 쫓기 위한 주술 행위로 개를 잡았고, 삼복이라는 날로 정해 액운을 막았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의미를 담아 삼복이 되면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를 나눠줬습니다. 당시에는 빙표를 가지고 장빙고에 가면 얼음을 받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삼계탕을 먹는 이유

복날의 경우 폭염이 내리쬐는 기간 중에서도 더위가 매우 심해서 야외활동을 하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너무 더워서 일을 하러 나가기 힘들어도 농번기이기 때문에 일을 해야 했습니다. 따라서 체력보충을 하기 위해 고칼로리 영양식을 먹어야 했고, 주로 선호되는 요리가 고기였습니다. 그중에서도 수분 보충용으로 물기가 있어야 하고 열기를 돋게 하기 위해 부재료를 활용한 국물 요리를 많이 먹곤 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장마로 인한 고온다습한 날씨 때문에 음식물의 부패가 빨리 일어나는 시기라 고기와 달걀 값이 저렴한 시기라 닭고기를 가장 많이 먹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어서 흔히 '복날은 삼계탕 먹는 날'이라는 인식이 생긴 것 같습니다. 실제로 삼계탕에는 메치오닌을 비롯한 필수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삼계탕은 원기회복에 좋은 삼, 보양강장에 좋은 대추, 비장 및 위장을 따뜻하게 하는 마늘과 찹쌀이 들어가는 보양식이기 때문에 몸이 허한 사람들에게 매우 좋다고 합니다.

 

 

현재 복날에는

복날에 가장 많이 먹는 것은 삼계탕이고 보신탕, 육개장, 장어, 추어탕, 설렁탕 등의 각종 보양식을 먹습니다. 팥죽을 먹기도 하는데 이는 귀신과 더위를 물리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풍요롭지 못했던 과거와는 다르기 때문에 꼭 복날 음식을 챙겨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요새는 오히려 이열치열이 아니라 더우니까 간단하게 냉면같이 시원한 음식을 먹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한 삼계탕과 같은 닭이니까 치킨이나 찜닭, 닭볶음탕 등의 다른 닭고기 요리를 먹는 사람도 많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배달 어플에서 할인 쿠폰도 많이 제공하고 있으니까 꼭 닭요리가 아니더라도 맛있는 음식 먹고 더위를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